에스겔 44:15-27
이스라엘에 성전, 제단, 제사가 회복되고 제사장이 회복됩니다. 하나님은 사독 자손 제사장이 할 일을 주셨는데, 그 일은 하나님의 백성이 살아야 할 삶의 기준이 됩니다. 이스라엘을 회복하시는 하나님이 원하시는 일을 해 나가야 합니다.
1.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을 위하여 사독 자손 제사장을 회복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제사장들이 성소에서 수종 들게 하셨습니다(15). 하나님께 수종 드는 일은 하나님과 가까운 관계임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자기 백성에게서 떠나지 않습니다(신31:6). 그런데 하나님은 성소에서 수종 드는 제사장의 거룩함을 요구합니다. 사역의 옷과 평상복을 구분하고(17-19), 머리털을 밀어서는 안 됩니다.
하나님은 제사장이 백성을 가르치며 재판하게 하셨습니다(23,24). 하나님은 백성들이 말씀으로 살기를 원하십니다.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하나님은 말씀을 주셨습니다(출20:1-2). 제사장은 구별을 가르치고, 재판해야 합니다. 지혜와 판단력이 필요한 제사장은 포도주를 금해야 합니다. 포도주는 판단력을 흐리게 합니다(창9:20-21).
하나님은 제사장이 정한 절기를 지키라고 하셨습니다(24). 하나님이 정한 절기에는 하나님의 은혜가 드러나 있습니다. 모든 절기는 하나님의 은혜를 알고 감사하는 일이 근본입니다. 절기를 주신 하나님은 백성과 깊은 관계를 원합니다. 제사장은 결혼할 때도 자기 정욕이 아니라 감사함과 정결함으로 살아야 합니다.
2.예수는 대제사장으로서 우리가 제사장의 삶을 살게 하셨습니다.
예수로 말미암아 우리는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갈 수 있습니다. 예수는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 진정한 중보자로서 우리가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갈 수 있게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구속함을 받은 자가 입는 옷이 흰옷입니다(계3:5). 예수의 피로 깨끗해진 흰옷을 입은 자가 하나님께 나아가 경배할 수 있습니다(계7:9-10).
하나님의 말씀인 예수는 죄인을 정결하게 하고, 거룩함을 분별하게 합니다. 예수는 제자들이 말씀으로 깨끗해졌다고 하셨습니다(요15:3).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있을 때 거룩함과 속됨을 구별하며, 부정함과 정함을 분별합니다. 말씀이 거룩함과 부정함을 분별하는 기준입니다. 말씀을 주신 하나님의 의도가 중요합니다(행10:15).
예수는 절기를 완성하여 우리가 그 절기 안에 있게 합니다. 십자가에서 죽은 예수는 유월절 어린양이 되셨으며, 부활로서 초실절 첫 열매가 되셨습니다. 우리는 절기를 완성하신 예수 안에서 완성된 절기를 지킵니다(마26:29). 우리가 절기의 근본인 감사의 삶을 사는 일에서 예수는 우리의 감사 기초가 됩니다(골2:6-7).
3.우리는 하나님 앞에 세워진 제사장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항상 하나님을 가까이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을 가까이하는 사람이 되어야 온전한 감사가 시작됩니다. 감사의 시를 지은 시인은 감사하는 이유로 우리가 하나님의 소유이며, 하나님의 백성임을 강조합니다(시100:3-4). 하나님과의 온전한 관계를 깨닫고 그 관계를 유지하는 일이 감사하는 일의 첫 계단이 됩니다.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살아야 합니다. 말씀 안에 사는 사람은 부정하고 더러운 것을 구별하며 거룩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거룩한 사람이 거룩하신 하나님께 감사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진리는 우리를 거룩하게 합니다(요17:17). 그리고 우리의 지체를 하나님께 종으로 내어드릴 때 거룩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롬6:19).
감사의 절기를 주신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절기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완성하셨습니다. 문자적 절기는 하늘에 있는 것의 모형과 그림자입니다(히8:5). 절기를 주신 하나님의 뜻을 알고 그 뜻에 합당하게 살아야 합니다. 예수 안에서 살면 하나님의 절기를 지키며 감사의 삶을 바르게 살 수 있습니다.
제사장을 세워주신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을 섬기며, 말씀대로 살며, 하나님이 주신 모든 은혜를 알고 그 은혜를 감사하는 삶을 살기를 원합니다.
'하나님의 말씀 > 오늘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복된 땅 중심에서 할 일 (0) | 2024.12.06 |
---|---|
내가 곧 그 기업이라 (0) | 2024.11.29 |
진노 중의 긍휼 (0) | 2024.11.08 |
하나님이 원하시는 예배자 (0) | 2024.10.31 |
닫아 둔 성전 동문 (0) | 2024.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