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겔 41:21-26
에스겔은 성소와 지성소 밖의 방들과 서쪽 뒤뜰의 건물도 보았으며, 다시 성소에 들어가서 성소에 있는 기구를 보게 되었습니다. 성소 안에는 가장 중요한 나무 제단 하나만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성전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하나님은 에스겔에게 다시 성소 안에 모습을 보여주셨습니다.
성소에는 나무 제단만 있습니다. 성소에는 금 분향단, 등대, 진설병상이 있었으나 에스겔 성전에는 나무 제단만 있습니다. 제단은 여호와 앞의 상입니다. 예수로 완성된 성소에서는 하나님께 직접 간구하며(계6:9-10), 예수께서 빛이기 때문에 등대도 없습니다(계21:23). 하나님의 백성이 하나님 앞에 있음만이 영원합니다.
나무 제단과 나무 디딤판이 있습니다. 성소 진설병상은 금으로 감쌌었는데(출25:23-24). 하늘 성전 진설병상은 나무로 되었습니다. 영광, 가치를 상징하는 금은 이미 완성되었으므로 나무만 보입니다. 베드로는 십자가를 나무라고 말합니다(행10:39, 벧전2:24).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하늘에서도 영원히 기억됩니다.
내전과 외전에 접는 두 문짝이 있습니다(23-24). 문이란 여닫는 역할을 합니다. 성소와 지성소 문이 열리면 들어가고, 닫히면 들어갈 수 없습니다. 여호와의 상에 떡을 진설하는 일 즉 하나님의 백성이 자신을 보여드릴 때 그 문은 열리고(신4:7), 하나님의 얼굴이 백성을 향하는 일은 누구도 방해할 수 없습니다(민3:10).
2.예수 그리스도는 성소의 일을 완성하셨습니다.
예수는 성소 안에 여호와의 상만 있게 합니다. 예수는 등대와 분향단을 이미 완성하셨습니다. 세상의 빛이라고 하신 예수는 등대를 완성하셨으며(요8:12), 또 그의 이름으로 직접 하나님께 구하게 하여 분향단을 완성했습니다(요14:13). 예수는 우리를 영광스럽게 하시고 우리를 영원히 하나님의 얼굴 앞에 있게 합니다(요17:22).
예수는 십자가 흔적을 하늘에서도 영원히 드러냅니다. 세상의 성막과 성전에서는 금 같은 물질로 영광을 표현했으나 그리스도 자신이 영광 그 자체입니다. 나무 제단 즉 십자가는 영원히 하늘에서도 드러납니다. 부활하신 예수의 몸에 십자가 흔적을 그대로 가지셨습니다(요20:27). 진정한 영광은 예수의 희생과 사랑입니다.
예수는 성소와 지성소의 문에 대한 주권을 가졌습니다. 예수께서 문을 열어주시면 우리는 하나님 앞에 들어갈 수 있으며, 열어주지 않으시면 어떤 사람도 들어갈 수 없습니다. 예수는 작은 능력으로도 예수의 말을 지키며 그 이름을 배반하지 않은 빌라델비아 교회를 향하여 하늘의 문을 열어주셨습니다(계3:7-8).
3.우리는 하늘 성전의 성소에 들어간 자로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 앞에 나를 드러내는 예배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하늘 성소에 있는 상은 제단이며, 여호와 앞에 상입니다. 떡이 진설되는 떡상이 제단 즉 예배가 됩니다. 구원받은 자의 우선적 일은 영적 예배입니다(롬12:1). 영적 예배는 하나님 앞에 나를 드러냄입니다. 다윗이 하나님 앞에서 쫓겨나지 않기를 간구했습니다(시51:11).
십자가를 신뢰하고 의지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성소에서 강조되는 것은 나무였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만 영원합니다. 사람들은 십자가를 미련한 것으로 여기나 십자가만이 구원을 이루는 유일한 길입니다(고전1:22-23). 십자가의 가치를 무시하면 안 됩니다. 갈라디아 교회는 십자가의 길에서 쉽게 떠났습니다(갈3:1).
성소의 문이 열리기를 바라고, 들어갈 준비를 하며 살아야 합니다. 지혜로운 여자들은 기름과 등불을 준비하여 혼인 잔치에 들어가나 어리석은 처녀들은 뒤늦게 준비하다가 잔치에 못 들어갔습니다(마25:11-12). 깨어있는 자 앞에 문은 열려 있습니다. 하나님 얼굴을 구하는 자는 문들이 열리기를 노래했습니다(시24:6-7).
하늘 성소에 있는 나무 제단을 아는 사람으로서 가장 가치 있고 영원한 십자가를 알고 십자가를 의지하는 삶이 일상에서 나타나도록 적용하며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 > 오늘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룩한 의식주 (0) | 2024.09.06 |
---|---|
성전 방의 구조와 배치 (0) | 2024.08.30 |
서쪽 뜰 뒤 건물에서 (0) | 2024.08.16 |
성전에 붙은 골방에서 (0) | 2024.08.09 |
성소와 지성소에서 (0) | 202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