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 15:1-9
하나님은 모압의 멸망에 대해 경고하셨습니다. 역사를 아는 이스라엘은 모압의 멸망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이 시대에 교회가 알아야 할 내용입니다. 하나님께서 어떤 사람을 멸하시는지 알고, 그 망하는 자의 길에 서지 않아야 합니다.
1.하나님은 모압을 향해서 경고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모압이 하룻밤에 다 망한다고 하셨습니다.(1) 계속해서 이스라엘의 주변 나라들에게 경고하신 것은 모든 민족에게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참 신이라는 것을 보여주시는 목적이 있습니다.(겔25:11) 모압은 그모스를 섬기고 있었지만 하룻밤에 망합니다. 하나님은 거짓 된 신들을 섬기는 일의 허무함을 경고하셨습니다.
모압을 향한 경고는 유다와 이스라엘에게 들려주신 말씀입니다. 이사야는 예루살렘에서 이 말씀을 선포했습니다. 이스라엘은 모압의 멸망을 알고 그에 합당한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이스라엘이 기억하는 모압은 음란한 출신 배경과 또 광야의 이스라엘을 저주하려고 했던 일들입니다. 음행과 저주가 모압의 특징입니다.
선지자는 멸망이 선포된 모압을 위하여 부르짖었습니다.(5) 다른 민족의 슬픔에 함께한 것입니다. 모압은 원래 이스라엘을 저주하려다가 이스라엘 총회에 들어올 수 없다고 정죄되었습니다.(신23:3) 그러나 하나님의 은혜는 모압 여인 룻이 다윗 왕의 할머니가 되게 합니다. 모압은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한 자들입니다.
2.예수 그리스도는 영적인 모압을 처리하셨습니다.
예수는 사람들을 율법의 저주에서 속량하셨습니다. 영적 모압이란 자기만 잘 되기를 바라며 타인을 향하여 저주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발람의 저주를 막으셨지만, 예수는 죄인에게 있는 저주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셨습니다.(갈3:13) 예수께서 저주의 십자가를 지심으로 사탄은 하나님의 백성들을 저주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예수는 음행의 유혹을 이기게 하셨습니다. 영적 모압은 음란함이 그 특징입니다. 유대인들은 세리와 창녀들을 늘 구별했지만 예수는 그들과 함께 식사하셨으며, 간음이 마음의 문제임을 가르쳐 주셨습니다.(마5:27-28) 세상은 간음을 법적으로 죄를 삼지 않지만, 예수는 그런 마음을 품는 자체가 간음죄라고 하셨습니다.
예수는 의의 도를 받아들인 믿음을 인정하셨습니다. 예수는 창녀의 도덕적 허물을 탓하지 않고 의의 도를 믿는 믿음을 인정하셨습니다.(마21:32) 회개한 자들의 믿음은 잘못 된 행동에서 돌이킨 것입니다. 예수는 하나님의 은혜를 이루셨습니다. 모압 여인 룻을 영접해 주었던 보아스와 같이 예수는 죄인을 대속하셨습니다.
3.우리는 모압을 멸하신 하나님의 마음을 알고 살아야 합니다.
살아계신 하나님을 신뢰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저주하려는 세력을 막으셨습니다. 저주로부터 지켜 주시는 하나님을 신뢰해야 합니다. 발람이 이스라엘을 저주 할 수 없었던 사실(민23:8)은 이스라엘이 알지도 못하던 순간이었지만 하나님은 그 일을 하셨습니다. 우리를 지키시는 하나님을 신뢰하며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바른 길을 떠나지 않아야 합니다. 우리를 유혹하는 세력을 하나님이 멸하셨습니다. 성도는 유혹에 넘어가지 않고 바른 길을 떠나지 않아야 합니다. 거짓선지자는 저주의 자식이며, 미혹을 받아서 발람의 길을 갑니다.(벧후2:14-15) 교회가 거룩한 길을 바르게 걸어갈 때 이 세상의 소망이 될 수 있습니다.
저주의 사람들에게 구원의 길을 열어주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많은 사람들의 구원이 우리가 전하는 복음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하셨습니다. 복음을 전할 때 죄인을 불쌍히 여기는 예수의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다윗은 박해하던 자를 위하여 기도했습니다.(시35:12-13) 바울은 교회가 세상의 슬픔과 함께하라고 했습니다.(롬12:15)
모압을 갑작스럽게 멸망시키시는 하나님만이 참 신입니다. 우리는 이 시대의 영적인 모압을 알고, 그들의 저주와 음행의 유혹을 이기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 > 오늘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합의 유혹에 속지 말라 (0) | 2018.10.26 |
---|---|
살 수 있는 자를 살리라 (0) | 2018.10.19 |
시온을 세우시는 하나님 (0) | 2018.09.21 |
여호와의 경영 (0) | 2018.09.14 |
이스라엘과 바벨론의 인생역전 (0) | 2018.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