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12:1-14
모세는 이스라엘에게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할 일을 설명합니다. 정복사역을 한 이후에 실패하지 않도록 할 일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모세가 첫 번째로 강조하는 것은 하나님을 향한 예배의 문제입니다. 사역자에게 예배는 최우선의 일입니다.
1.모세는 가나안 땅에서 행할 예배를 먼저 강조합니다.
가나안 신들의 이름을 멸하라고 합니다.(3)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중요한 것은 예배의 대상입니다. 이스라엘이 가나안의 신들의 이름을 멸하는 것은 예배의 대상을 바르게 알고, 헛된 것을 기억조차 하지 않는 것입니다. 생각에서도 다 지워버리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사람들은 악한 것을 버릴 수 있어야 합니다.(살전5:22)
하나님의 이름을 두신 곳으로 나아가서 예물을 드리라고 합니다.(5-6) 가나안에는 하나님의 이름을 두신 특별한 곳이 있게 됩니다. 솔로몬은 그의 성전이 하나님의 이름을 두신 곳임을 알고 기도했습니다.(왕상8:29)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예배는 보이는 우상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그 이름 앞에 나아가는 것입니다.
백성들이 함께 즐거워하라고 했습니다.(7,12) 하나님을 향한 예배는 백성들이 서로 함께 즐거워하는 것으로 나타나야 합니다. 예물 중에는 사람들이 서로 나눌 부분이 있습니다. 예배공동체인 이스라엘은 서로 하나 되어 즐거워해야 합니다. 예수의 십자가는 우리 둘을 하나로 만들어 아버지께 나아가게 합니다.(엡2:18)
2.하나님은 이스라엘이 바른 예배를 드리게 해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그 이름을 주셨습니다. 예배를 받으시는 하나님은 광야 성막과 예루살렘 성전에 그 이름을 두셨습니다. 하나님은 아들에게 그 이름을 주셔서 세상에 보내셨습니다.(요17:12) 아들은 그 이름을 제자들에게 주어 기도하고, 사역하게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이름을 주셔서 백성들이 하나님의 이름으로 살게 합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두실 한 곳을 택하셨습니다. 하나님의 통치는 온 세상에 다 미치지만, 그 중 한 곳을 선택했습니다. 특정한 장소에 사람들이 나아오고, 모입니다. 하나님은 이곳에서 아브라함이 이삭을 드리고, 다윗이 회개의 제단을 쌓고, 솔로몬이 성전을 짓게 했습니다. 종말에는 주의 백성을 이곳으로 모으십니다.(마24:31)
하나님은 사람들이 드릴 다양한 예배의 방법을 정해주셨습니다.(12) 하나님은 백성들에게 ‘번제, 십일조, 거제, 서원제, 낙헌 예물, 초생물’ 등 많은 예배를 말씀하셨습니다. 지금도 하나님은 믿음의 사람들에게서 바른 신앙고백, 찬양, 하나님과 함께하려는 마음, 받은 은혜를 이웃과 나눔 등의 예배를 받으십니다.
3.예배하는 사역자가 되어야 합니다.
사역 이전에 예배자가 되어야 합니다. 특정장소가 예배를 완성시키지 않습니다.(요4:21) 예배자는 영과 진리로 영이신 하나님께 나아가야 합니다. 성령으로, 진리에 대한 확신으로, 영이신 아버지께 나아가는 자가 바른 예배자입니다. 예배자의 영이 중요합니다. 메시아는 하나님을 경외(예배)하는 영을 받았습니다.(사11:2)
바른 예배, 힘을 다한 예배를 드려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다양한 제사를 말씀하신 것은 하나님을 향한 마음을 다양하게 표현하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다 이루려는 힘을 다한 예배를 드리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향한 예배에서 고백, 찬양, 감사, 헌신, 서원, 나눔, 등 많은 요소들이 있어야 합니다.(골3:16-17)
주의 이름으로 모여야 합니다.(13-14) 이스라엘은 하나님이 정하신 곳에서 번제를 드리고, 명령을 이행합니다. 예루살렘이라는 장소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하나님의 이름이 더 중요한 것 같이, 교회는 예배에서 하나님의 이름을 더욱 중요하게 여깁니다.(마18:19-20) 우리가 주의 이름으로 모일 때 주님이 그곳에 함께 합니다.
하나님의 사역자라고 해도 예배가 잘못되면 하나님과의 관계가 깨어지고, 많은 사역도 헛되게 됩니다. 예배를 바르게 드릴 때 사역이 더욱 온전해 집니다.
'하나님의 말씀 > 오늘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역자의 탐구 (0) | 2016.09.16 |
---|---|
사역자의 일상의 영성 (0) | 2016.09.09 |
미래를 준비하는 사역 (0) | 2016.08.26 |
사역과 하나님 나라 (0) | 2016.08.20 |
하나님을 체험한 사역자의 책무 (0) | 2016.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