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11:1-7
한 나라, 민족 등 모든 공동체는 시간이 흘러가도 더욱 견고하게 지속되어야 합니다. 광야 40년을 지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하신 큰일을 본 사람들입니다. 모세는 이들에게 그들의 신앙체험을 자녀들에게 전수할 책임이 있음을 강조합니다.
1.하나님의 큰일을 눈으로 본 사람들은 하나님이 주신 책무가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큰일을 체험한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출애굽 때와 광야 40년의 길에서 하나님의 능력과 은혜를 체험했습니다. 이와 같은 놀라운 일은 그 자녀들이 다 경험하지 못한 일입니다.(2) 하나님은 특별한 때에 특별한 사람이 하나님을 깊이 체험하게 하여, 그 체험이 다른 사람에게 말씀이 되게 합니다.(요일1:1)
이스라엘은 하나님께 받은 책무가 있습니다.(1) 책무는 ‘지켜야 할 모든 의무'입니다. 이스라엘은 구원 받은 것으로 끝나는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의 명령과 규례와 법도를 지킬 책무가 있는 사람입니다. 은혜에는 책무가 따릅니다. 핍박자 사울을 구원하신 주님은 그가 해야 할 일을 아나니아를 통해 전해주셨습니다.(행9:15)
이스라엘은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지속되게 할 책무가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자녀들에게 영적 체험을 전수할 때 공동체가 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가나안에 대한 사명이 있는 이스라엘의 후손들은 하나님의 큰일을 보지 못했습니다. 세상은 재물을 물려주지만,(시17:14) 하나님의 사역자는 영적유산을 전수해야 합니다.
2.하나님은 스스로 가지신 책무를 이행하는 큰일을 보여주셨습니다.
하나님은 큰 능력을 보여주셨습니다.(3-4)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큰 민족으로 만드셨습니다.(10:22) 하나님의 위엄과 강한 손, 편 팔로 애굽에 재앙을 내리고, 홍해를 가르신 이유는 이 땅에 하나님의 사람들을 통하여 그의 나라를 이루시기 위함입니다. 하나님은 그의 기업을 세우기 위하여 놀라운 일을 이루셨습니다.
하나님은 동행과 공급의 은혜를 보여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광야에서 인도하셨습니다.(5) 매일 만나를 주시고, 반석에서 물을 내고, 메추라기를 몰아주셨습니다. 또 구름기동 불기둥으로 낮의 뜨거움, 밤의 추위를 이기게 하셨습니다.(시78:14-15) 이런 인도하심은 이스라엘을 강하게 만드시는 하나님의 방법입니다.
하나님의 통치를 보여주셨습니다.(6) 다단과 아비람이 모세를 대항할 때,(민16:3) 하나님은 그들이 선 땅을 갈라지게 하여 심판하셨습니다. 모세의 지도력이 무너지고, 선동가, 인간적 능력자가 지도자가 되는 일을 심판하셨습니다. 우리의 지도자는 오직 그리스도입니다.(마23:10) 이스라엘은 하나님이 다스리는 영적공동체입니다.
3.하나님을 체험한 사역자로서의 책무를 잘 이행해야 합니다.
하나님이 보여주신 것을 믿음의 눈으로 보아야 합니다. 표적의 현상이 아니라 내면적 의미를 보아야 합니다. 정탐꾼들 중에 불신의 정탐꾼은 외형만 보았지만(민13:33) 여호수아 갈렙은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을 보았습니다.(민14:9) 예수의 말씀이나 표적에서 특히 그 표적의 의미를 믿음의 눈으로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나의 책무를 순종의 눈으로 보아야 합니다. 하나님은 그의 일을 하나님이 정하신 때와 장소에서 동역자와 함께 할 책무를 우리에게 주십니다. 하나님의 일을 순종의 눈으로 볼 때 그것이 나의 사역이 됩니다. 보아스는 형제의 기업을 무를 일을 이행하려고 합니다.(룻3:13) 하나님이 보여주는 일을 나의 일로 보아야 합니다.
다음세대와 함께 미래 비전을 같은 영으로 보아야 합니다. 나의 후손을 통해서 이루어질 하나님의 일이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민족이란 비전이 있습니다. 회복을 말씀하신 하나님은 모든 사람들에게 같은 영을 부어줍니다.(욜2:28) 자녀들과 아비들 청년들이 같은 영으로 비전을 함께 나누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그의 힘과 능력으로 하신 일들을 체험한 사람들을 통하여 그 이후세대까지도 준비되게 하십니다. 신앙과 영적체험을 후손들에게 잘 전수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 > 오늘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를 준비하는 사역 (0) | 2016.08.26 |
---|---|
사역과 하나님 나라 (0) | 2016.08.20 |
사역자를 향한 하나님의 요구 (0) | 2016.08.06 |
사역의 힘을 얻는 길 (0) | 2016.07.30 |
사역자의 정체성 (0) | 2016.07.22 |